우리가 흔히 접하는 주식회사의 의미를 알아보고 회사의 주인인 주주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회사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주식을 사고파는 이유에 대해서도 정리해 보겠습니다.
주식회사의 의미
과자나 음료수를 사 먹을 때 포장지에 'OOO주식회사' 또는 '(주) OOO'라고 써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자제품을 보거나 어떤 상품을 설명하는 부분을 보면 주식회사라고 적혀있는 것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식회사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생각해 본 적이 있으신가요? 주식회사는 두 사람 이상의 돈을 모아서 차린 회사를 말합니다. 대부분의 회사들은 주식회사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유명한 대기업 회사들은 주식회사의 형태로 운영됩니다. 여러 사람이 회사를 만드는 데 돈을 내고, 회사는 주식을 발행해서 돈을 낸 사람에게 낸 돈의 액수만큼 주식을 나누어 줍니다. 즉, 주식이란 각자가 낸 돈만큼 그 회사의 소유권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회사가 운영이 잘 되어 이익을 많이 내면 그 회사의 주식을 갖고 있는 사람들도 이익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대기업 회사들 대부분은 코스피나 코스닥이라고 하는 주식을 거래하는 시장에 상장이 되어 있기 때문에 회사의 주식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열사람이 10억 원을 모아서 주식회사를 차렸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많이 투자한 사람은 5억, 적게 투자한 사람은 1천만 원을 냈다고 하면, 많은 돈을 낸 사람이 적게 낸 사람보다 회사에 대한 권리를 더 갖게 됩니다. 여기서 돈을 가장 많이 낸 사람을 최대 주주라고 합니다. 최대주주들은 경영권을 가지는 경우가 있고 소액주주들은 주식을 소유함으로써 배당을 받기도 합니다.
주주의 역할
주식회사의 주주들은 회사가 잘 돌아가 이익이 생기면 자기가 가진 주식의 비율만큼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회사가 망하면 자기가 낸 돈의 액수만큼 손해를 보게 됩니다. 현재 우리나라 기업들 중에 삼성전자, 현대자동차와 같이 대기업인 경우 대부분인 주식회사입니다. 이런 주식회사들은 주식을 거래할 수도 있고 거래를 못할 수도 있습니다. 코스피나 코스닥 시장에 상장이 되어있는 경우에는 누구나 주식을 사거나 팔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상장 주식이라고 불리는 누가 주식을 가지고 있는지 잘 모르고 시장에 나와있지 않은 주식들은 거래를 할 수가 없습니다. 주식회사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선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어 있어서 어떤 한 개인의 힘에 의해 회사가 좌우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민주적으로 회사를 운영할 수가 있습니다. 이것은 회사의 주식을 산 주주들이 여러 사람이므로 한 개인의 뜻에 의해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주주들이 임명한 경영자가 회사를 움직이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실제로 주식을 산 수많은 주주들 모두가 직접 회사 경영에 참여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부분의 주주들은 아주 적은 지분만 가지고 있으므로 경영에 참여할 권한이 적습니다. 그래서 주로 이익에 대한 배당금만 받게 되는 것입니다. 경영권을 가지기 위해서 주식의 지분을 소유하고 늘리는 일을 하는 것을 영화나 드라마에서 많이 접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민주적인 절차로 주식의 지분을 많이 가지고 있게 되면 경영자를 임명할 수 있기 때문에 지분율 싸움을 하는 경우도 실제로 있습니다.
주식을 사고파는 이유
주식의 가격을 주가라고 합니다. 주식은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기 때문에 가격이 계속해서 변하게 됩니다. 주식을 팔려는 사람보다 사려는 사람이 많으면 주가가 오르게 되고 팔려는 사람보다 사려는 사람이 적으면 주가가 떨어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주식은 왜 사고파는 것일까요? 회사와 개인의 경우가 조금씩 다릅니다. 회사들은 회사의 운영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 주식을 팔고, 개인들은 배당금을 받을 것을 기대하고 주식을 사거나 차익을 얻을 수 있을 때 주식을 팔게 됩니다. 주식회사의 경영에 관한 주요 결정은 주주총회에서 이루어집니다. 이때 주주는 어떤 결정 사항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주식의 수만큼 권한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주식을 적게 산 소액 주주는 큰 권한을 갖지 못합니다. 그렇지만 소액 주주도 주식을 싸게 사서 비싸게 팔아 이익일 남길 수 있습니다.
'기초경제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에 관한 격언과 투자방법 그리고 어린이 주식투자 (0) | 2023.06.10 |
---|---|
한국, 뉴욕, 도쿄의 증권거래소와 펀드와 배당금 (0) | 2023.06.09 |
정기시장과 상설시장, 종합시장과 전문시장 그리고 시장의 예 (0) | 2023.06.07 |
재벌의 의미와 중소기업의 의미 그리고 중소기업의 관계 (0) | 2023.06.05 |
양극화, 대기업과 중소기업, 양극화 현상의 다른 예 (0) | 2023.06.05 |